과체중·저체중 인원의 현역병 복무 판정 기준을 완화하기로 하였습니다. 고도비만, 즉 과체중·저체중 인원이 군 복무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입니다. 또한, 병역 자원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취지이기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4일 BMI기준의 과체중이나 저체중 대상자가 군 복무를 하는 것이 지장이 없다는 판단하에 진행이 된다고 합니다. 상세 내용을 바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역병 복무 판정 기준 완화
현역병 복무 판정 기준 완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판정 기준 완화의 배경
과체중 및 저체중 인원이 군 복무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이 되고 병역 자원 부족에 대응하려는 취지로 판정 기준이 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1. 개정안
국방부는 14일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현역 판정 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의 ‘병역판정 신체검사 등 검사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습니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체질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개정안은 현역 판정 기준의 하한을 현행 16에서 15로 낮추고, 상한을 현행 35에서 40으로 올리도록 했습니다. 구체적으로, 과체중 판정 기준을 체중 25kg/m2 이상에서 27kg/m2 이상으로, 저체중 판정 기준을 체중 18.5kg/m2 미만에서 17kg/m2 미만으로 완화했습니다.
이번 판정 기준 완화는 과체중 및 저체중 인원이 군 복무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병역 자원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개정안은 입법 예고 후 30일간의 의견 수렴을 거쳐 국회 심의·의결을 거쳐 공포될 예정입니다.
2. 고도비만 판정 변경
개정안이 시행되면 35~39.9의 고도비만 인원도 현역으로 복무할 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 35~39.9의 고도비만 인원은 현역 복무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어 사회복무요원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개정안이 시행되면 현역 복무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어 현역으로 분류될 수 있게 됩니다.
3. 정부 입장
병역 자원 감소에 따른 대응 방안이냐는 질문에 “그렇게 이해하실 수도 있겠습니다”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BMI 기준을 완화하더라도 정상적으로 병역 의무를 수행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여 이러한 결론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군입대 자주 하는 질문
군대에서 어떤 일을 하게 될까요?
군대에서는 군사훈련, 경계근무, 군사작전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군인의 직무는 군종, 계급, 근무부대 등에 따라 다르며, 군대에서의 생활은 군종, 근무부대, 장소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군대에서 어떤 교육을 받게 될까요?
군대에서는 군사훈련, 군사작전, 군사법규, 군사보안, 군사의료, 군사행정 등 다양한 교육을 받습니다. 군인의 교육은 군종, 계급, 근무부대 등에 따라 다르며, 군대에서의 교육은 군종, 근무부대, 장소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군대에서 어떤 병과를 선택할 수 있나요?
군대에서는 군종, 근무부대, 병과 등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병과 선택은 군대에서의 업무 수행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병과 선택에 대한 보장은 없습니다.
군대에서 어떤 복무기간을 가지나요?
군대에서의 복무기간은 군종, 계급, 근무부대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만기 전역까지 복무합니다. 만기 전역은 군인이 복무한 기간이 끝나는 날짜를 의미합니다.
군대에서 어떤 복무형태를 선택할 수 있나요?
군대에서는 군인의 신체조건, 군종, 근무부대 등에 따라 다양한 복무형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무형태 선택은 군대에서의 업무 수행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복무형태 선택에 대한 보장은 없습니다.
군대에서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나요?
군대에서는 군인의 근무성과, 복무기간, 군종, 계급 등에 따라 다양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보상으로는 군인급여, 군사휴가, 군사복지 등이 있습니다.
군대에서 어떤 훈련을 받게 되나요?
군대에서는 군사훈련, 군사작전, 군사법규, 군사보안, 군사의료, 군사행정 등 다양한 훈련을 받습니다. 군인의 훈련은 군종, 계급, 근무부대 등에 따라 다르며, 군대에서의 훈련은 군종, 근무부대, 장소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현역병 복무 판정 기준 완화 (고도비만, 저체중 포함)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국방부의 현역병 판정 기준 완화는 병역 자원 부족에 대응하고, 과체중 및 저체중 인원의 군 복무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그러나 부상이나 질병 발생 위험 증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각 진료과 전문의의 전문 소견을 종합하여 완화 기준을 새롭게 적용하고 추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