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뉴스에 반가운 얼굴 이봉주 마라톤 선수가 나왔습니다. 이봉주 선수의 근황과 건강상태 그리고 희귀병 등 프로필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라톤 완주만 무려 41번. 꺾이지 않는 의지로 해낸 이봉주 선수의 최신 근황정보를 바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봉주 근황 건강 희귀병 나이 등
이봉주 전 마라톤 선수의 간단한 프로필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봉주 프로필
- 출생 : 1970년 10월 10일
- 출생지 : 충남 천안시
- 소속 : 손기정기념재단 감사
- 학력 : 서울시립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 경력 : 202.10~ 원주시 홍보대사
- 수상 : 2022년11월 대학체육회 선정 대한민국 스포츠 영웅
이봉주 수상경력
이봉주 수상경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 마라톤 은메달
-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마라톤 금메달
- 2001년 보스턴 마라톤 우승
-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마라톤 금메달
- 2007년 서울 국제마라톤 우승
등의 기록을 보유한 ‘레전드 마라토너’입니다.
이봉주 전 마라톤 선수의 건강상태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아래를 확인해 보시면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봉주 건강상태
이봉주 전 마라톤 선수는 2020년 1월 건강에 이상이 생긴 걸 알게 되었고 근육긴장이상증이라는 질병에 걸렸다고 합니다.
근육긴장이상증
근육긴장이상증(dystonia)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자세를 취하거나 근육이 비틀어지는 이상 운동 현상이 나타나는 신경학적 질환입니다.
근육긴장이상증이 있으면 근육이 불수의적으로 수축하여 뒤틀리거나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등 비정상적인 운동과 이상한 자세가 나타납니다. 많은 환자들이 목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사경증이나 손이나 몸통이 꼬이는 증상이 나타나서 내원합니다.
원인
근육긴장이상증은 특발성 근 긴장 이상증(idiopathic dystonia)과 2 차성 또는 증후성 근 긴장 이상증으로 구분됩니다. 전자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고, 후자는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거나 헌틴톤병, 윌슨병 등 다른 신경학적 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는 몸의 일부분, 즉 눈이나 목, 팔, 다리 등에 생기기도 하고, 목과 팔처럼 좀 더 넓은 부분에 나타나기도 하며, 전신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증상
이 질환의 증상은 아주 경미하여 유의해서 보지 않으면 잘 알 수 없는 정도에서부터, 매우 심하여 일상생활을 전혀 할 수 없는 정도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잦은 눈 깜박임, 눈꺼풀의 경련, 글씨를 몇 줄 쓴 후 필적이 나빠지는 경향, 말을 할 때 목이 조이는 듯한 느낌, 특히 피곤할 때 목이 자꾸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당겨지는 현상은 모두 근육긴장이상증의 초기 증상입니다.
처음에는 증상의 정도가 매우 경미하여 힘든 일을 할 때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 피로할 때에만 간헐적으로 눈에 띕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더욱 두드러지며 넓은 부위로 퍼지기도 합니다.
이봉주 근황
이봉주 선수의 최신 근황을 바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봉사활동 단체 ‘봉주르’설립
이봉주 전 마라톤 선수는 2018년에는 마라톤을 즐기는 친구들과 함께 ‘봉주르’라는 봉사활동 단체를 창설했습니다. 회원들은 어려운 이웃들에게 도시락 배달, 청소, 방역활동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진행하며 큰 힘을 모으고 있다고 합니다.
미래목표
이봉주는 레전드 마라토너로 알려져 있으며, 손기정 선생님과 임춘애 선수를 롤모델로 삼아 노력해 왔다고 전했습니다. 자녀에게는 다양한 운동을 시켜보았지만, 아무것도 잘하지 못하는 것으로 웃으며 전했습니다.
건강 회복 후에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며, 어려운 이웃들에게 힘이 되고자 봉사활동을 지속할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봉주는 “아플 때도 운동이 꿈”이라며, 올해에는 건강 회복하여 다시 달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고 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이봉주 근황 건강 희귀병 나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강회복을 하셔서 앞으로도 멋진 활약을 기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